기사 메일전송
[관심주] 카카오, 2015 영업이익 반토막
  • 김승범 기자
  • 등록 2016-02-05 09:58:14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김승범 연구원]

「매출액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은 반토막」

지난해 카카오의 성적표이다. 카카오의 지난해 매출액은 9,322억원으로 전년비 86.9% 급증했다. 그렇지만 영업이익은 49.9% 감소한 883억 5,770만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도 반토막(772억원. 전년비 -48.5%)이다. 

카카오의 매출액 급증은 2014년 10월 합병 덕분이다. 영업손익 및 당기순손익의 감소는 신사업 투자에 기인한다.

1601280351576880

카카오는 부진한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신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뷰티, 교통, 금융 등의 O2O(Online to Offline. 온오프라인 연계)가 여기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음원1위 사업자인 '멜론'을 1조 8,700억원에 인수하며 음악 엔터테인먼트 사업 진출을 예고하기도 했다.

또, 카카오는 무료 서비스 카카오톡을 활용해 수익을 올리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오는 6월에 미용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여 카카오 페이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art_1445331142_99_20151020221505

교통 분야도 카카오 O2O 사업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해 3월 30일 카카오택시를 선보이며 출시 9개월만에 누적 호출 수 5700만건, 일 호출 수 60만건, 기사 회원 19만명 이상을 기록하며 시장 반응을 이끄는데 성공했다. 카카오는 대리운전 '카카오 드라이버' 상반기 출시 시기도 저울질하고 있다. 카카오 드라이버는 카카오의 O2O 서비스 중 가장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사업이다. 기존 사업자들은 대형 경쟁자 등장을 반대하는 데 반해 대리운전자들은 "근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며 환영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카카오 O2O에 대해 전형적인 '문어발식 확장'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카카오톡에 온갖 부가 서비스를 덧붙인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보기술(IT) 업계의 관계자는 "카카오가 진출하는 사업과 벤처 기업들의 주 활동 영역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며 "카카오가 카카오톡 성공을 바탕으로 수익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좋지만 기존 사업자들과의 공생, 신규 사업 확장의 정도와 범위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카카오의 O2O 행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다. 외국계 기업이 국내 O2O 시장을 잠식하는 것보다 카카오 같은 국내 기업이 약진하는 현상이 낫다는 것이다. 최재홍 강릉원주대 멀티미디어학 교수는 "현재 카카오는 O2O 사업으로 당장 돈을 번다기보다 일단 시장을 선점해 트래픽을 올리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카카오톡을 시장에 빨리 선보여 점유율을 장악한 성공 노하우를 O2O에도 접목하려는 셈"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애플과 구글의 스마트폰 운영체제(OS)가 막강해 국내 기업들이 OS 사업과 관련 사업에서 줄줄이 고전한 전례가 있다"며 "기존 사업자와 공존하는 방안이 전제된다면 카카오를 비롯한 국내 기업의 약진을 나쁘게만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GS건설, 주택 정산이익·신사업 손실 공존…실적 리레이팅 – LS LS증권은 8일 GS건설(006360)에 대해, 주택부문의 정산이익과 엘리먼츠 청산손실이 동시에 반영되며 실적 변동성이 불가피하지만 현장 믹스 개선과 선제적 비용 반영으로 연간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만원으로 상향했다. GS건설의 전일 종가는 2만550원이다.LS증권의 김세련 애널...
  2. [버핏 리포트]티앤엘, 수출 관세 불확실성 존재...장기 성장 트렌드 지속 전망 -상상인 상상인증권이 8일 티앤엘(340570)에 대해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미국 피부 트러블 시장에서의 마이티 패치 관세 영향 우려가 크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11만원에서 9만6000원으로 하향했다. 티앤엘의 전일 종가는 6만200원이다.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티앤엘의 2분기 실적으로 연결 기준 매출액 453억원 (YoY -17.5%), 영업이익이 158...
  3. [버핏리포트] HDC현대산업개발, 잔여 분기 동안 이익 개선 흐름...외형 성장 지속 전망 - NH NH투자증권이 8일 HDC현대산업개발(294870)에 대해 서울원 아이파크 비중 확대, 원가율 정상화, 지식산업센터 비용 반영 종료 등으로 이익 개선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3만원으로 상향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전일 종가는 2만2250원이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HDC현대산업개발의 올해 주택(자체) 부.
  4. [버핏 리포트]코스맥스, K뷰티 수출 호조로 국내 실적 견조… 美•中 핵심 변수–키움 키움증권이 8일 코스맥스(192820)에 대해 K뷰티 수출 호조로 국내 법인은 올해 내내 견조한 실적 유지가 전망되며, 실적 추가 성장 여부는 해외 법인 특히 중국과 미국의 회복 속도에 달려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1만원을 유지했다. 코스맥스의 전일 종가는 25만2000원이다.키움증권의 조소정 애널리스트는 “2분기 연결...
  5. [환율] 위안-달러 7.1621위안 … 0.05%↓ [버핏연구소] 08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1621위안(으)로, 전일비 0.05% 하락세를 보였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