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밑줄긋기] '감정은 어떻게 진화했나' 나의 감정의 출발 지점이 궁금하다면...
  • 이민주
  • 등록 2022-05-15 21:19:46
  • 수정 2024-02-18 19:06:57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감정은 어떻게 진화했나>. 이시카와 마사토 지음. 박진열 옮김. 라르고. 2016년 7월. 원제 '人は感情によって進化した 人類を生き殘らせた心の仕組み'


감정은 어떻게 진화했나. [이미지=예스24]

- 포식자로부터 도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공포 감정은 인류의 빠른 단계에서 가장 먼저 나타났다.


- 개체의 상하관계를 형성하는 분노와 위협은 무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몸에 밴 것이다. 죄책감, 의리의 감정은 최근에 나타난 복잡하고 고차원의 감정이다.


- 불안감은 막연한 공포가 지속되는 상태이다.


- 감정은 인류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 하다. 그런데 불교는 감정을 탈피하라고 말한다.


- 인간의 분노 감정은 전쟁의 근원이 됐지만 한편으로는 사회적 규칙을 지키는데 공헌하고 있다.

-인류가 탄생한 지 300만년 가까이 경과하고 있다. 부모가 아이를 얻기까지 20년이 걸린다며 약 10만세대 이상이 경과한 것이다. 지금 사는 우리들은 약 10만 쌍의 부모들이 생존에 성공했던 결과이다. 생존에 성공한 우리들은 이른바 "승자들의 후예"이기에, 살아남기 위한 많은 마음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추측된다. 또 우리 중 누군가 두 사람을 대상으로, 먼 옛날의 부모들을 살펴보면 꼭 동일 인물이 있을 수 있다. "인류는 모두 형제"라고 하는데 따지고 보면 정말 그렇다. 그래서 우리들 마음 속 기능의 본질은 꽤 닮아 있다.


-감정은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들의 진화 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다. 그것은 생활환경 적응의 역사이며, 주변 상황과 어우러진 감정의 진화였다. 감정은 생명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생물 진화의 역사 과정 속에서 서서히 축적되었다. 예를 들어, 포식자로부터 도망치는 “공포”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습득되었으며 개체의 상하관계를 형성하는 “분노”와 “두려움”은 무리를 형성하게 된 단계에서 만들어졌다. 이후 인간으로 진화하여 협력집단이 구축된 후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감정, 즉 “죄책감”과 “의리”등의 복잡한 감정이 진화했다.


-분노는 권리를 지키고, 협력을 증진 시키고, 개인의 능력을 다양화하여 집단생활을 발전시키는 순기능을 가진다. 결국 감정 자체는 좋고 나쁨을 따지기 보다 현재 내 목적에 맞게 기능적으로 작동하는 지가 더 중요하다. 감정이든 정서든 그 자체로 좋고 나쁨을 확정 짓기 보다는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더 중요하다(2장)


-진화 심리학적 관점에서 자기 과시는 ‘복잡한 자신을 집단의 요구에 맞추어 간단화해서 집단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욕구이다. 자기 과시 욕구는 대상 집단이 필요하다. 본인의 자아상을 과시하기 위해서는 집단을 보고 분담 가능한 작업을 찾아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내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 사람들은 외적인 상황을 보지 않고 내면만 찾고 자아상을 결정하는 것은 아닌지 한 번쯤 생각해볼 일이다. 외부적 환경이 되어줄 집단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고정되어 있는 자아상을 만들어버리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신의 내면을 보듯 눈을 밖으로 먼저 돌려 여러 가지 외부적 환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수렵 채집 시대에는 집단에서 인정받는 것이 생사의 문제였기 때문에, 자기 과시를 통해 집단에서 승인을 받는 것이 중요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복수의 집단에 소속되어 자아상을 획득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집단에서 제시받는 자아상은 다르지만, 우리는 하나의 자아상을 형성하려는 심리적 경향을 가진다. 마음의 복잡성을 재인식하고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또는 단순화한 자아상을 형성하지 않고 집단에 따른 자기 과시를 응용할 수 있는 마음이 요구된다(6장)

sunhwa771@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 TCC스틸, 1Q 업황 부진 2026년부터 본격 성장...긴 호흡 투자하라-DB DB증권이 TCC스틸(002710)에 대해 과거 멀티플이 지나치게 높았기에 2026년 실적 추정치 하향은 정상적인 조정이며, 이에 실적 턴어라운드 시기가 멀었다는 점을 고려해 긴 호흡으로 접근을 추천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만9000원으로 하향했다. TCC스틸의 전일 종가는 2만600원이다.안회수 DB증권 연구원은 TCC스틸의 올해 1.
  2. [버핏 리포트] 대한전선, 고부가 수주 확대...초고압·해저 케이블 중심 '구조 전환' – 유안타 유안타증권은 18일 대한전선(001440)에 대해 초고압·해저 케이블 중심 구조로 전환하고 있고 사상 최대 수주잔고를 기록하며 외형 성장이 가시화됐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4000원을 개시했다. 대한전선의 전일 종가는 1만1470원이다.손현정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는 “대한전선은 초고압 및 해저 케이블 중심 구조.
  3. [버핏 리포트] 카카오페이, 준수한 실적 기록…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의 핵심은 증권-신한 신한투자증권은 18일 카카오페이(377300)에 대해 양호한 분기 실적은 예상되지만 단기 주가 상승 여력은 크지 않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4000원을 유지했다. 카카오페이의 전일종가는 2만9750원이다.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페이의 1분기 매출액은 2031억원(YoY +15.2%), 영업손익은 12억원(적자 지속)으로 추정했다.임희연 연.
  4. 현대지에프홀딩스, 복합기업주 저PER 1위... 1.16배 현대지에프홀딩스(대표이사 정지선. 005440)가 4월 복합기업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대지에프홀딩스가 4월 복합기업주 PER 1.16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코오롱(002020)(1.86), 효성(004800)(2.07), KX(122450)(2.15)가 뒤를 이었다.현대지에프홀딩스는 지난 1분기 매출액 2조2036억원, 영업이익 100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
  5. [이슈 체크] 2025년 3월 글로벌 타이어 판매 동향 하나증권 송선재. 2025년 4월 18일.타이어 전체 판매의 20%/80% 비중인 OE/RE 판매가 3월 누적 기준 각각 YoY -1%/+4%를 기록하며 전체 YoY 2% 수준의 성장을 기록했다. OE 판매는 경제적/지정학적 이슈가 큰 유럽/북중미의 부진이 지속되는 반면, 정부 지원책 영향을 받는 중국에서의 증가가 이를 상쇄시켰다. RE 판매는 중국을 제외한 시장 전반에서 양호...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