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익 1373억...전년比 75.4%↓
  • 황기수 기자
  • 등록 2024-02-08 11:18:53
  • 수정 2024-02-08 11:22:04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엔씨소프트(대표이사 김택진)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7798억원, 영업이익 1373억원, 당기순이익 2139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7일 공시했다. 이는 2022년 대비 매출은 30.8%, 영업이익은 75.4%, 순이익은 50.9% 감소한 실적이다.


엔씨소프트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이미지=더밸류뉴스]

지역별 연간 매출은 한국 1조1497억원, 아시아 3499억원, 북미·유럽 1358억원으로 나타났으며, 플랫폼별로는 모바일 게임 1조2004억원, PC 게임 3651억원, 로열티 144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4분기 매출은 4377억원, 영업이익은 39억원, 당기순이익은 252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3.5% 증가하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76.7%, 42.8% 감소했다. 


엔씨소프트는 4분기 매출 증가는 모바일 게임 부문의 성장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게임 리니지M의 견조한 매출과 리니지2M, 리니지W의 업데이트 효과가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엔씨소프트는 올해 게임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라이브 IP의 이용자 기반 확대, 신규 IP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추진 중이며,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노력도 확대할 방침이다.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8일 진행된 2023년 연간 및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글로벌 시장에 맞는 플랫폼과 수익모델을 다각화하겠다"고 밝혔다.

ghkdritn12@thevaluenews.co.kr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주식투자, 왜 철학의 문제인가? 투자철학이라는 개념주식투자가 철학의 문제라고 말을 하면 사람들은 다소 의아해할 것이다.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하는 철학이라는 말을 주식투자를 이야기하는 데 사용하기에는 너무 거창해 보인다. 그러나 철학을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인생관, 세계관, 신조 등을 의미하는 말로 새길 때는 ..
  2. 서희건설, 건설주 고ROE+저PER+저PBR 1위 서희건설(대표이사 김팔수 김원철. 035890)이 1월 건설주 고ROE+저PER+저PB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 서희건설은 1월 건설주 고ROE+저PER+저PBR 1위를 차지했으며, 세보엠이씨(011560), 대우건설(047040), 금화피에스시(036190)가 뒤를 이었다.서희건설은 지난 3분기 매출액 3414억원, 영업이익 59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6.52% ..
  3. 휴네시온, 소프트웨어주 저PER 1위... 4.4배 휴네시온(대표이사 정동섭. 290270)이 12월 소프트웨어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휴네시온은 12월 소프트웨어주 PER 4.4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세중(039310)(4.52), 지란지교시큐리티(208350)(6.38), 시큐브(131090)(7.52)가 뒤를 이었다.휴네시온은 지난 3분기 매출액 65억원, 영업손실 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1...
  4. [버핏 리포트] DL이앤씨, 4Q 양호한 실적 전망...착공은 기대 이하 추정 -하나 하나증권이 DL이앤씨(375500)에 대해 순현금흐름이 1조원 이상으로 재무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내년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무탈할 수 있는 체력을 갖추고 있지만, 분양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이 보수적인 점에서 봤을 때 내년 바닥 이후 턴어라운드 시점에서 반등할 수 있는지 여부는 미지수라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3만9000원을 유지..
  5. [이슈 체크] 2025 로보틱스 투자 본격화된다 SK증권 박찬솔. 2025년 1월 3일.국내 로봇 산업이 대기업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이번 지분 확대 및 최대주주 변경 건이 로보틱스 산업 의 사기를 높이는데 매우 긍정적이다. 국내 로봇산업에 투자해온 대표기업들은 한화/삼성/LG/LIG넥스원/현대/두산 등으로, 이번 계기로 시장에서 기업들의 로봇기업 M&A나 추가 지분 투자에 관심이 높아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