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슈 체크] 건설, 프로젝트 영향 불가피
  • 김호겸 기자
  • 등록 2025-06-23 09:44:38
  • 수정 2025-06-23 10:07:39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버핏연구소=김호겸 기자]

신영증권 박세라. 2025년 6월 23일.


[출처 : pixabay]

지난 22일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공습함으로써 공식적으로 미국이 직접 이란, 이스라엘 전쟁에 개입했다. 이번 사태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은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따른 운송 지연과 그에 따른 프로젝트 공정 차질, 중동 지역 전쟁 불안 확산으로 인한 프로젝트 발주 보류 프로젝트 시설 안전 강화를 위한 직간접 비용 상승 세 가지다.


이에 지난 22일 이란 의회는 즉각 호르무즈해협 봉쇄를 승인했다. 이란 최고국가안보위원회의 최종 승인이 남았으나, 간접적인 운송 방해를 위한 작전은 이미 일부 실행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다. 주요 상선 업체들은 항로를 우회하거나 호위함단을 동반해 운행하는 등 영향을 받고 있다. 중동에서 중국으로 향하는 초대형 유조선(VLCC) 운임은 13일 이후 40% 급등했으며, 로이터에 따르면 War-risk 보험료는 배럴당 3~8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카타르 North Field로부터 쳔연가스 수입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아시아 현물 LNG 가격이 mmBtu당 14.225달러로 올해 2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사우디, UAE 등 프로젝트 수행 물자 운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이번 미국 개입과 그에 따른 타격으로, 중동 지역 전역에서 활동중인 친이란 무장세력이 보복에 나선다면 국가 주요 시설인 정유 가스 플랜트에 직접적인 타격이 있을 수 있다. 중동 전쟁 확산 위기가 고조되면서 주요 NOC들의 경우 발주 계획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높음. 또 이를 위한 주요 시설 안보 및 보안을 위한 각종 요건들로 인해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직간접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반적으로 중동 지역의 전쟁 확산 위기감이 확산될수록 건설사들의 해외 프로젝트 수행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신뢰할 수 있는 시공 파트너의 위상은 이토록 숱한 리스크를 겪으면서도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입증하고, 증명했던 노하우가 만들어주는 것이다. 한국 건설EPC에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아직 주요 프로젝트 공정이 초기 단계에 있어 이번 리스크가 공정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발주가 지연되면서 신규 수주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등 변수는 감안해야 한다. 중동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의 수주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원전 단일 테마의(특히 미국 중심) 이슈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심종목]

000720: 현대건설, 028050: 삼성E&A, 006360: GS건설, 047040: 대우건설, 010780: 아이에스동서, 009240: 한샘, 108670: LX하우시스, 375500: DL이앤씨, 294870: HDC현대산업개발, 002380: KCC, 344820: KCC글라스, 300720: 한일시멘트, 003070: 코오롱글로벌, 029260: 삼성물산, 002990: 금호건설, 005960: 동부건설, 002150: 도화엔지니어링, 003070: 코오롱글로벌, 317400: 자이에스앤디, 014790: HL D&I, 004960: 한신공영, 210980: SK디앤디, 053690: 한미글로벌, 013120: 동원개발, 011370: 서한, 002460: HS화성

rlaghrua823@buffettlab.co.kr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조정 충분...SMR 수요 재확인 긍정적 - KB KB증권이 2일 두산에너빌리티(034020)에 대해 충분한 주가 조정 상태의 임박한 수주 모멘텀은 주가의 강력한 상승동력이 될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만9000원을 '유지'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전일종가는 6만4600원이다. 정혜정 KB증권 애널리스트는 두산에너빌리티의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3조9000억원(...
  2. [버핏 리포트] 두산퓨얼셀, 데이터센터 수요 반영…수익성 개선은 시간 필요 – NH NH투자증권은 30일 두산퓨얼셀(336260)에 대해, 데이터센터 증가로 발전용 연료전지 수요가 존재하나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수율 개선과 전사 수익성 회복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만8000원에서 3만2000원으로 상향했다. 두산퓨얼셀의 전일 종가는 2만9150원이다.정연승 NH투자증권 애.
  3. [환율] 엔-달러 152.5000엔 … 0.89%↑ [버핏연구소] 0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엔/달러 환율은 152.5000엔(으)로, 전일비 0.89% 상승세를 보였다.[출...
  4. 진양제약, 제약주 고ROE+저PER+저PBR 1위 진양제약(대표이사 최재준 최윤환. 007370)이 9월 제약주 고ROE+저PER+저PB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 진양제약이 9월 제약주 고ROE+저PER+저PBR 1위를 차지했으며, 일동홀딩스(000230), JW생명과학(234080), 대한약품(023910)가 뒤를 이었다.진양제약은 지난 2분기 매출액 302억원, 영업이익 2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9.82%, 영업이익은 31....
  5. [환율] 위안-달러 7.1227위안 … 0.02%↑ [버핏연구소] 0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1227위안(으)로, 전일비 0.02% 상승세를 보였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