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은 30일 우리금융지주(316140)에 대해 3분기 생보사 연결 실적 인식과 5810억원의 염가매수차익(세후 기준) 발생으로, 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7.6% 증가하며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목표주가를 3만2000원으로 상향했으며, 투자의견 ‘홀드’를 유지했다. 우리금융지주의 전일 종가는 2만5500원이다.
김재우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3Q 당기순이익은 1조2444억원(전년동기대비 +37.6%)으로 컨센서스를 26.7% 상회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실적은 3분기부터 동양생명 및 ABL생보사가 연결 인식되며 염가매수차익 5810억원이 일회성 이익으로 반영되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우리금융지주 당기순이익 비중. [자료=버핏연구소]
그는 "3분기 중 부동산 신탁 관련 비용, 외화환산 손실, 충당금 등 잠재적 실적 부담 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 비용을 인식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러한 일회성 이익을 활용한 선제적 건전성 관리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며 “3분기 누적 기준 신용 위험 비용(Credit cost)은 0.52%로 상승했으나, 이는 선제적 충당금 적립에 따른 것으로 일회성 요인 제외 기준으로는 2분기와 동일한 수준이다”고 말했다.
이어 "비은행 부문 이익 기여도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자산신탁 등 추가 충당금 부담을 대부분 인식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거액의 충당금 부담 발생 가능성은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끝으로 "보통주 자본비율(CET1)의 13% 조기 달성 및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강화 의지를 피력한 점이 향후 긍정적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우리금융지주는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증권, 생명보험 등의 비은행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는 금융지주회사이다. 현재 인수합병(M&A)을 통한 비은행 부문 강화로 이익 안정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자료=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