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대차·포스코 등 23개사, 2000년 이후 적자 없어
  • 김승범 기자
  • 등록 2016-09-27 14:11:39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김승범 연구원]

국내 500대 기업 중 2000년 이후 올해 2분기까지 66분기 연속으로 영업흑자를 낸 우량 기업이 현대차, 포스코, SK텔레콤, 호텔신라 등 총 23개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50분기 이상 연속 흑자를 낸 기업도 네이버, 한샘, NC소프트 등 23곳이었고 30분기 이상 흑자 기업은 CJ제일제당 등 26개사로 집계됐다.

이들 중 분기보고서를 공시하기 시작한 이후 단 한 차례 적자도 없이 흑자 행진만 이어간 우량 기업도 네이버, 현대글로비스 등 19개사나 됐다.

27일 기업 경영성과평가 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 중 분기별 실적 확인이 가능한 290개사의 영업이익을 조사한 결과, 2000년 1분기 이후 66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총 23개사인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차 그룹에서는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SK그룹은 SK텔레콤과 SKC, 부산도시가스 등 3개사가 각각 포함됐고 삼성그룹은 호텔신라와 에스원 2곳이 들어갔다.

LG그룹에서는 LG상사가 포함됐다. 이밖에 롯데쇼핑, 포스코, 신세계, 농심, KT&G, GS홈쇼핑, 오리온 등이 66분기 연속 흑자를 낸 기업들이다.

업종별로는 자동차·철강·화학과 유통 부문에서 우량기업들이 많이 배출됐다.

자동차 관련 업종에서는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를 비롯해 넥센타이어, 동아타이어공업 등이 있었고 포스코, SKC, 국도화학 등 전통 제조업 기업도 포함됐다.

또 신세계, 롯데쇼핑, CJ홈쇼핑, GS홈쇼핑 등 유통업체도 다수 들어갔다. 중견기업 중에는 닭고기 가공업체 마니커를 계열사로 둔 이지바이오가 66분기 연속 흑자를 낸 기업에 포함됐다.

반면 IT전기전자 관련 기업은 66분기 연속 흑자를 낸 곳이 거의 없었다. 경기 부침이 심하고 라이프 사이클이 빠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66분기 연속 흑자기업 중 실적이 가장 크게 상승한 곳은 현대모비스다.

현대모비스의 올해 2분기 말 기준 영업이익은 4,926억원으로 2000년 1분기 343억원에 비해 1,337.1%나 급성장했다. 매출액 역시 2000년 1분기 3,736억원에서 5조523억원으로 1,252.2% 급증했다.

영업이익 증가율 2위는 넥센타이어였다. 44억원이던 영업이익이 605억원으로 1천264.2% 증가했다. 매출액 역시 491억원에서 4,010억원으로 716.1% 늘었다.

3위는 66분기 동안 영업이익이 1,161.7% 증가한 현대제철이 차지했다. 279억원이던 영업이익이 3,522억원으로 급증했다.

연속 흑자 기업 영업이익, 매출액 증가율

50분기 이상 연속 흑자를 낸 기업도 23곳이나 됐다. 이중 10개사는 분기 실적을 공시하기 시작한 후 한 번도 적자를 내지 않은 기업들이다.

네이버는 2002년 3분기 처음 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이후 58분기 연속 흑자를 냈다. 이 기간 네이버의 매출액은 127억원에서 6,156억원으로 무려 4,737.1% 급증했고 영업이익도 61억원에서 2,344억원으로 3,747% 증가했다.

한샘은 2000년 4분기와 2001년 1분기 영업적자를 냈지만 이후 61분기 동안 한 번도 적자를 내지 않았다. 덕분에 2000년 1분기 15억원에 그쳤던 영업이익은 올해 2분기 306억원으로 1,905.9%나 급증했다.

NC소프트는 국내 IT기업 중 가장 긴 60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2001년 2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이후 60분기동안 한 번도 적자가 없었다.

2000년 1분기 40억원에 불과하던 영업이익은 올해 2분기 813억원으로 1,922.5% 늘었고 매출액은 69억원에서 1,771억원으로 2,466.9% 증가했다.

30분기 이상 연속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26개사였다. 이중 9개 기업은 분기 실적 공시 이후 연속 흑자를 냈다.

CJ제일제당은 2007년 분할 설립된 뒤 36분기째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밖에 오뚜기(46분기), 롯데제과·현대글로비스(42분기) 크라운제과(38분기), 기아자동차(35분기) 등도 장기간 분기 영업흑자를 기록 중이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두산에너빌리티, 마누가 수혜 기대감 고조...목표주가 '상향' - KB KB증권이 28일 두산에너빌리티(034020)에 대해 미국 중심의 원전 산업 재편, SMR 수주 가시화, 마누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8만9000원에서 11만원으로 23.6% '상향'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전일종가는 8만1900원이다.정혜정 KB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이 지난 5월 트럼프 대통령.
  2. [버핏 리포트]삼성전자, "가격•수량 잡을 수 있는 유일한 기업"...목표주가 '13만원' - 삼성 삼성증권이 31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디램 판가 인상과 연속되는 이익 추정 상향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3만원으로 '상향'했다. 삼성증권의 전일종가는 10만4100원이다. 이종욱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디램이 수요가 꺾이거나 공급이 증가할 만한 요인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클라우드 고...
  3. [버핏 리포트] LG, 자회사 주가 회복 시 지주 가치 재평가 기대 – SK SK증권은 31일 LG(003550)에 대해 자회사 주가 부진으로 지주사 주가가 소외되어 있지만,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0만원으로 상향했다. LG의 전일 종가는 8만2700원이다.최관순 SK증권 애널리스트는 “LG의 연초 대비 주가 상승률은 13.2%로 코스피나 타 지주회사 대비 부진했다”며 “LG CNS 상.
  4. 삼양바이오팜 분할 출범, 삼양홀딩스는 순수 지주사되고 경영 효율성↑ 삼양홀딩스에서 삼양바이오팜이 인적분할되면서 삼양홀딩스는 순수 지주사로 색깔이 선명해지고 그룹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삼양홀딩스가 의약바이오 부문을 인적분할해 지난 1일 삼양바이오팜을 출범시켰다. 이 분할은 의약바이오사업의 가치를 시장에서 재평가받고, 전문경영인 체제를 통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환경에 ...
  5. 한국주식시장, 버핏지수 기준으로 최근 10년만에 최고치...'과열 단계' 진입했나 버핏지수(Buffett Index) 기준으로 한국 주식시장이 최근 10년 이래 최고치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밸류뉴스가 30일 기준으로 한국주식시장의 버핏지수를 산정한 결과 150.92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 주식시장 전체 시가총액(3847조원. 코스피+코스닥)을 2024년 한국 명목 GDP(국내총생산. 2549조원)으로 나눈 값이다.◆버핏지수 120 넘으면 '과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