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밑줄긋기] 자본주의는 유럽에서 어떻게 탄생했나? 『하룻밤에 읽는 유럽사』
  • 이민주
  • 등록 2017-07-27 21:07:37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하룻밤에 읽는 유럽사. 윤승준 인하대 교수 지음. 랜던하우스 펴냄. 2012년 9월

125938640

- 로마제국은 말기에 이르러 국경 방어를 위한 조세 수입의 증대를 목적으로 농민들의 이동을 금지시켰다. 이는 자유민인 토지 경작자들의 다수가 콜로누스(Colonus)라는 예농으로 전락하는 결과를 낳앗다.
한편 게르만족의 침입이 본격화되자 원로원 의원을 비롯한 대귀족들은 위험한 도시를 떠나 자신의 영지가 있는 농촌으로 생활 근거지를 옮기고 저택(Villa)을 지었다. 그들은 현재의 예농 집단과 자유민들을 피보호인으로 거느렸다. 대지주는 촌락민들에게 생활의 안정과 국가 권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했다.
9세기 노르만족의 침입에 따른 빈번한 전투는 이런 관행을 고착화시켰다. 군사적 방어력을 갖지 못한 농촌 주민들은 대귀족들의 보호에 의지할 수 밖에 없었다.
중세 유럽의 봉건제는 이런 배경에서 등장했다. 촌락의 지도자로 부상한 특정 기사를 영주로 받아들이고, 그의 지배와 보호 아래 생활하기에 이른 것이다.

- 농노는 영주를 물질적으로 부양하는 동시에 그에게 존경심을 표시하고 예의를 갖춰야 했다. 여기에다 세속인들의 영적 구원을 담당하는 그리스도교 사제가 '기도하는 사람'으로서 이들과 나란히 지배 집단을 구성했다. 쉽게 말해 장원에서는 영주, 사제, 농노의 3부류가 생활햇다.

- 장원의 중심은 성채였다. 성채는 오늘날 흔히 상상하는 것과는 달리 소규모였고 외관도 그리 훌륭하지 못했다. 성채의 내부에는 영주, 그리고 그의 대리인이 기거하는 저택,교회와 사제관, 빵을 굽는 화덕과 제분소, 우물 같은 공동 시설물이 있었다.
성채 너머에는 농노들의 가옥과 농사용 창고들이 한데 모여 있었다. 이뉸 유사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였는데, 성채 중심의 취락 구조는 외부의 위협이 실질적으로 사라진 10세기말 이후에도 반복됐다.

- 영주는 절대 권력을 누렸다. 영주는 단순히 지주로서 갖는 경제적 차원의 권한 뿐만 아니라 사법, 행정, 재판권을 갖는 절대적 통치자였다. 영주는 자신에게 예속된 농노가 범죄를 저지르면 재판을 열어 그를 처벌할 수 있었다.
영주는 제분기, 화덕, 포도압착기 등의 필수 시설을 독점하고 사용료를 받았다.

- 농노는 구속된 몸이었다. 농노는 해마다 정기적으로 생산물의 절반 가량을 영주에게 바쳤고, 부활절이나 영주 집안의 결혼식이 있을 때는 특별 공납을 했다.
이로 인해 농노는 극도로 궁핍했다. 농노는 죽을 때 자기 몫의 농지를 자식들에게 물려줬는데, 이때는 상속세를 내야 했다.

- 10세기에 4,000만명 가량이던 유럽의 인구는 14세기초에 이르러 7,000만명을 넘게 된다. 농업혁명으로 평가받는 삼포제, 거름의 사용 등이 원인이었다. 제철 기술의 발전도 원인이었다. 편자가 보급됐다. 중세 초기의 가축들에게는 편자가 장착되지 않았다. 그래서 가축들은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고, 걸핏하면 미끄러졌다. 발굽이 쉽게 상했다.
그런데 편자가 장착되면서 땅과의 마찰력을 높이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 인구의 증가는 물품의 수요의 증가를 의미했다. 이는 도시의 상업의 발전을 가져왔다.

- 영주들은 처음에는 도시에 대해 적대적이었다. 도시민들은 영주에 맞서 단결할 필요가 있었다. 도시민들은 공동 서약을 통해 코뮌을 결성하고 영주와 대결했다.
이 결과 중세 도시는 영주들로부터 특허장을 얻어냈다. 특허장은 오늘날의 헌법과 유사한 것으로 이 문서에는 도시민의 3대 특권이 명시됐다. 첫째, 도시 설립 당시의 도시민과 도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은 누구나 자유민으로 인정받는다. 2. 도시민은 화폐지대 이외에 봉건적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3. 도시민의 재산권은 영주의 자의적 침입을 받지 않는다.

또, 특허장에 따르면 중세 도시는 사법권과 전용 재판소를 설치하고, 한명의 시장과 참사회로 구성된 시 정부를 운영할 수 있었다. 시장은 영주가 임명하거나 시민들에 의해 선출됐고, 시 정부는 국왕을 대리했다.

- 중세 도시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피렌체, 제노바, 밀라노, 나폴리가 5대 도시였다. 영국 런던, 브뤼해, 헨트도 있었다 이들 도시의 인구는 각각 10만명 안팎이었다.
 
- 영주는 12세기부터는 도시를 장려했다. 세금을 거둬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종교와 상업은 절충점을 찾았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공정 가격을 준수하며, 고리 대금으로 이득을 취하지 않는한 어떤 상업적 이윤 추구도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600년에 이른 기나긴 갈등이 봉합된 것이다. 이때부터 자본주의는 죄의식에서 해방돼 무한히 날아오를 수 있었다.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효성티앤씨, 경쟁사 대비 높은 수익성...주가는 아쉬워 - 신한 신한투자증권이 19일 효성티앤씨(298020)에 대해 단기 모멘텀 부재에도 글로벌 1위 경쟁력과 차별화된 수익성으로 디스카운트가 곧 해소될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4만원으로 '하향'했다. 효성티앤씨의 전일종가는 22만3000원이다.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효성티앤씨가 미중 관세 관련 수요 ...
  2. [환율] 위안-달러 7.1110위안 … 0.11%↑ [버핏연구소] 1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1110위안(으)로, 전일비 0.11% 상승세를 보였다.[...
  3. [버핏 리포트]녹십자, '알리글로' 미국 매출액 1억 달러 달성 전망… 영업이익률 20% – IBK IBK투자증권은 19일 녹십자(006280)에 대해 알리글로가 미국 시장에 안착하며 매출액 1억 달러와 영업이익률은 20%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9만원을 제시했다. 녹십자의 전일 종가는 13만1800원이다.정이수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녹십자 핵심 품목인 선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 ‘알리글로&rsquo...
  4. 삼지전자, 통신장비주 저PER 1위... 3.39배 삼지전자(대표이사 박두진 이태훈. 037460)가 9월 통신장비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지전자가 9월 통신장비주 PER 3.39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로스웰(900260)(3.46), 현대에이치티(039010)(4.82), 유비쿼스(264450)(6.9)가 뒤를 이었다.삼지전자는 지난 2분기 매출액 1조550억원, 영업이익 29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매출액.
  5. [버핏 리포트] LG디스플레이, OLED 중심 체력 확보로 리레이팅 기대 – 키움 키움증권은 19일 LG디스플레이(034220)에 대해 OLED 중심의 안정적인 이익 체력을 확보하며 디레이팅 요인이 해소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만3000원에서 1만6000원으로 상향했다. LG디스플레이의 전일 종가는 1만3090원이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