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작성일 : 21-09-24 17:15
효성, 2Q 매출액 증가율 1위 ‘30대 지주사’...5위 삼양홀딩스
글쓴이 : 버핏연구소
조회수 조회 : 2,756

효성, 2Q 매출액 증가율 1위 ‘30대 지주사’...5위 삼양홀딩스

- 효성티앤씨·첨단소재·화학의 '소재 3총사' 어닝 서프라이즈... 효성 1위 기여

- 휠라홀딩스(2위), 세아홀딩스(3위), 현대중공업지주(4위)

------------------------------------------------------------------------------------

한국 주식 시장의 30대 지주사 중 올해 2분기 매출액 증가율 1위는 효성(004800)(대표이사 조현준)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버핏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효성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946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1.58% 증가했다. 이어 휠라홀딩스(004800)(63.1%), 세아홀딩스(004800)(62.75%), 현대중공업지주(004800)(58.03%), 삼양홀딩스(004800)(35.5%) 등의 순이다.

20210926171034

◆효성, 티앤씨·첨단소재·화학 '소재 3총사' 어닝 서프라이즈

1위 효성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9468억원, 2180억원, 1874억원으로 전년비 43.5%, 1138.64%, 409.24% 증가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 분기 실적으로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40% 이상 상회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20210926171055
효성 분기별 매출액 추이. [자료=버핏연구소]

효성의 이번 호실적은 4개의 상장 자회사와 해외 지분법 자회사(베트남, 터키 등)로부터의 지분법 이익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지분법 이익이란 효성이 다른 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계열사에 이익이 발생하면 지분 보유량만큼 이익으로 평가받는 것을 의미한다. 효성의 ‘소재 3총사’라고 불리는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효성화학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지고 있다. 효성티앤에스 매출액은 2568억원으로 전년비 10.9% 증가했다.

효성의 또 다른 자회사 FMK의 매출액은 전년비 81.6% 늘어난 739억원을 기록했다. 기타 부문 매출액은 3638억원이었다. 지분법 자회사로의 지분법이익은 효성티앤씨 479억원, 효성첨단소재 160억원, 효성화학 94억원, 효성중공업 77억원, 기타 1032억원 등이다.

20210926171119
효성 최근 1년 주가 추이. [이미지=네이버 증권]

효성은 7월 15일 52주 신고가(12만8500원)를 기록했다. 효성의 24일 기준 PER(주가수익비율)은 16.72배, PBR(주가순자산배수)은 1.02배이며 동일업종 평균 PER은 11.66배이다.

◆휠라홀딩스 2위…골프 자회사 아쿠슈네츠 실적↑

2위는 휠라홀딩스로 매출액은 전년비 63.1% 증가한 1조194억원을 기록했다. 본업 FILA(휠라) 사업 부진은 지속됐으나 글로벌 골프산업 호황 지속에 따른 아쿠슈네츠 2분기 호실적이 전체 실적을 뒷받침했다. 아쿠슈네츠는 2분기 매출액 6억2500만달러(7340억원), 영업이익 1억 900만달러(1280억원)를 기록해 전년비 각각 108.3%, 833.3% 급증했다. 휠라홀딩스 연결 실적 대비 2분기 아쿠슈네츠 실적 기여도는 매출액의 69%, 영업이익의 70%를 차지했다.

4위 현대중공업지주는 전년비 58.03% 증가한 6조3303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연결 자회사인 현대오일뱅크,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및 글로벌서비스 실적은 예상보다 양호했으나 지분법자회사인 한국조선해양의 대규모 손실로 영업이익(1846억원)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5위 삼양홀딩스, 주가 50%↑... 화학 계열사 실적개선

5위 삼양홀딩스의 2분기 매출액은 7852억원으로 전년비 35.50% 증가했다. 자회사 삼양이노켐과 삼양패키징 등 화학 계열사 실적개선 덕분이다. 삼양이노켐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원료인 BPA(비스페놀-A) 제조 업체로 LG화학(49만5000t), 금호피엔비화학(45만t)에 이어 국내 세 번째 생산능력(18만t)을 보유하고 있다.

삼양패키징은 페트병 제조업체로 아셉틱(음료 충전)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ODM(제조자개발생산) 경쟁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양홀딩스 주가는 이달 들어서만 50% 넘게 올랐다.

20210926171134
삼양홀딩스의 최근 1년 주가 추이. [이미지=네이버]

7위 LG위는 전년비 29.76% 증가한 1조9235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2분기 지분법손익이 전년비 95.4% 증가했다. 이는 SK이노베이션과의 배터리 소송 합의금이 반영된 LG화학의 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이에 LG의 지배주주순이익은 컨센서스 대비 99.7% 상회했다.

같은 기간 9위를 기록한 SK의 매출액은 23조4457억원으로 전년비 26.72% 증가했다. 자회사 SK이노베이션 영업이익이 5065억원을 기록해 전년비 흑자 전환했다. 또 SK텔레콤(3966억원), SKC(1350억원), SK E&S(532억원) 등 주요 자회사의 실적 호조가 이어졌다.

롯데지주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2조5118억원으로 전년비 20.23% 증가해 13위를 기록했다. 롯데제과, 코리아세븐, 롯데정보통신 등 자회사가 호조를 보였다. 롯데제과 매출액은 5091억원으로 전년비 2.4% 증가했다. 코리아세븐과 롯데정보통신의 매출액은 각각 1조983억원, 2374억원으로 전년비 각각 7.1%, 2% 늘었다. 아울러 이번 분기부터 연결 편입된 롯데푸드 실적(4575억원)도 긍정적이었다.

◆대성홀딩스 30위...대성에너지 부진 영향

대성홀딩스의 매출액은 1584억원으로 전년비 6.05% 감소하며 30위를 기록했다. 금융업, 콜센터 부문의 성장에도 주력 매출처인 종속기업 대성에너지의 도시가스 판매가 감소하며 전년비 매출액이 줄었다. 대성에너지의 올해 2분기 매출액,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은 각각 1266억원, 18억원, 13억원으로 전년비 매출액은 8.33% 감소하고 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은 적자 전환했다.

대성홀딩스는 도시가스 공급업체인 대성에너지, 대성청정에너지, 통신 및 텔레마케팅 업체인 대성글로벌네트웍, 산업환경설비 공사업체인 대성이앤씨 등 종속기업을 보유 중이다. 대성홀딩스 및 종속기업들은 도시가스의 공급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설비공사업, 금융업(창업투자), 사업시설 유지관리업, 매립가스개발 자원화 사업 등을 병행하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 30대 상장사의 매출액 평균은 3조658억원이며 전년비 증감률 평균은 19.33%다. 매출액 합계는 91조9746억원으로 전년비 579.77% 증가했다.

 

ⓒ저작권은 버핏연구소에게 있습니다. 출처를 표시하면 언제든지 인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 제일기획, 탄탄한 기초로 시장 상회하는 이익 개선 전망-삼성 삼성증권은 28일 제일기획(030000)에 대해 탄탄한 기초 체력을 기반으로 올해도 시장을 상회하는 이익 개선이 전망돼 올해 1분기에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3500원을 유지했다. 제일기획의 전일종가는 1만7950원이다.강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제일기획의 1분기 매출액은 4157억원(YoY +6.4%), 영업이...
  2. [버핏 리포트] 롯데케미칼, 1Q 적자폭 감소 예상...주가 변동성 확대 경계해야 -대신 대신증권이 롯데케미칼(011170)에 대해 유동성 리스크 감소에 따른 밸류에이션 할인 요소 축소는 긍정적이지만, 동북아 역내 설비 폐쇄를 능가하는 NCC 증설 물량 유입으로 수급 개선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해 1분기 이후 실적 개선 정도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9만원으로 하향했다. .
  3. [이슈 체크] 반도체, 니토 보세키도 증설하는 이유 KB증권 이의진. 2025년 3월 28일.CCL(Copper Clad Laminate, 동박적층판)은 PCB의 핵심 소재로 유리섬유, 수지, 충진재 등으로 구성된 절연층에 동박을 적층한 제품이다. 이 중 유리섬유는 CCL의 열팽창을 제어해 열적 안적성을 높이고, 낮은 유전율의 소재를 사용하여 고주파 수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CCL의 AI 데이터센터向 수요가 증가하..
  4. [버핏 리포트] 포스코홀딩스, 美 보호무역·中 감산 변수…철강 시황 반등 기대 - 삼성 삼성증권이 POSCO홀딩스(005490)에 대해 중국과 미국의 철강 수요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지만, 한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중국의 감산 가능성이 철강 시황 회복을 기대하게 만든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4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POSCO홀딩스의 전일 종가는 30만500원이다.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철강 수요...
  5. [환율] 위안-달러 7.2677위안 … 0.03%↑ [버핏연구소] 28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2677위안(으)로, 전일비 0.03% 상승세를 보였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