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CJ제일제당, 지난해 매출액 30조…전년比 14.4%↑
  • 신현숙
  • 등록 2023-02-13 16:51:00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버핏연구소=신현숙 기자] CJ제일제당(097950)이 지난해 매출액 30조0795억원, 영업이익 16647억원, 당기순이익 8027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이하 K-IFRS 연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4.42%, 9.2%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은 10.0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5.53%로 전년비 4.56%p 줄었다. 최근 5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CAGR)은 13%다. 5년 평균 영업이익률은 5%를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7조5711억원, 영업이익은 2406억원, 당기순이익은 763억원으로 전년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 1.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62% 줄었다. 

CJ제일제당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CJ제일제당]

CJ대한통운을 제외한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조7794억원, 1조2682억원으로 전년비 각각 14.4%, 9.2% 늘었다. 부문별로 식품사업은 매출액 11조1042억원, 영업이익 623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비 각각 16.1%, 12.5% 개선됐다.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푸드 해외 판매 호조 등이 긍정적으로 기여했는데 사상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 10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을 넘겼다.

국내 식품 사업은 원가 및 비용 부담으로 영업이익이 다소 줄었지만, 해외사업이 연간 매출액 5조원을 돌파하고 영업이익이 45% 늘어나며 실적을 이끌었다. 미국 등 주요 사업국가에서 만두와 치킨, 가공밥 등 글로벌전략제품(GSP) 매출이 56% 성장한 데 힘입어 식품 글로벌 매출액 비중도 역대 최고 수준인 47%까지 올라갔다. 특히 슈완스는 생산성 개선과 판촉 효율화, 매출 성장에 따른 고정비 절감 등이 주효하며 영업이익이 전년비 52.8% 성장한 2171억원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매출액이 약 20% 늘어난 미국뿐 아니라 아태∙유럽 및 일본, 중국 등도 호조세를 보였다. 미국의 경우 그로서리 채널 만두 매출액이 66% 늘면서 연간 시장점유율도 40%를 돌파해 1위 지위를 유지했고, 냉동 피자매출도 29% 늘었다. 유럽, 중국 등에서는 대표 제품인 만두 외에도 치킨, 김치 등으로 K-푸드 영향력을 확대했다. 

국내 식품 매출액은 전년비 13.9% 성장한 5조9231억원을 기록했다.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춰 외식 수준의 품질과 가성비를 갖춘 제품을 선보였고, 온라인∙B2B(기업간거래)∙편의점 등 성장 채널의 유통 비중을 확대했다. 아울러 전 가치사슬(V/C)에 걸친 비용 감축 노력으로 전방위적인 비용 및 원가 상승에 대응했다. 

아미노산과 조미소재 등 그린바이오가 주력인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액은 4조8540억원으로 전년비 30.1%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원부재료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34.5% 증가한 6367억원을 기록했다. 주력 제품인 아미노산의 경우, 글로벌 경쟁사 대비 우위에 있는 시장지배력을 무기로 성장세를 이어갔고, 중국∙동남아시아∙북미∙남미 등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입지를 바탕으로 위상을 강화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의 매출액은 2조8212억원으로 전년비 15.3% 증가했다. 반면 물가 상승으로 인한 축산 원가 부담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며 영업이익은 전년비 94.9% 감소한 77억원을 기록했다. 

당분간 글로벌 경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CJ제일제당은 구매 및 생산역량 강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핵심제품의 국내외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식품에서는 K-푸드 글로벌 영토확장과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하고, 식물성 식품(Plant-based), 케어푸드 등 ‘New Wellness’ 분야 신제품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바이오에서는 해양 생분해 소재 PHA와 CJ바이오사이언스 중심의 레드 바이오 사업 등 미래 신수종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지난해 새롭게 출범한 FNT 사업부문을 통해 Wellness 식품소재, 영양(Nutrition), 대체단백, 배양단백 등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관심종목]
097950: CJ제일제당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넷마블, 1Q24부터 2Q25까지 연속 서프라이즈…주가 우상향 지속 – 신한 신한투자증권은 18일 넷마블(251270)에 대해 저평가된 개발력과 자체결제시스템 도입으로 지난해 1분기부터 6개 분기 연속 서프라이즈가 이어지고 다수 신작과 앱 수수료 축소로 주가 우상향이 지속되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8만2000원으로 상향했다. 넷마블의 전일 종가는 6만원이다.강석오 신한투자증권 ..
  2. 엑사이엔씨, 반도체와반도체장비주 저PER 1위... 4.99배 엑사이엔씨(대표이사 김성후. 054940)이 7월 반도체와반도체장비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7월 반도체와반도체장비주 저PER 10선. [자료=버핏연구소]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엑사이엔씨이 7월 반도체와반도체장비주 PER 4.99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한양이엔지(045100)(5.38), KX하이텍(052900)(5.82), 유니트론텍(142210)(5.99)가 뒤를 이었다.엑사이엔씨...
  3. [장마감] 코스피 0.9%↓(3186.38), 코스닥 0.08%↓(812.23) 16일 코스피는 전일비 28.90포인트(-0.9%) 하락한 3186.38으로 마감했다. 개인과 외국인각각 4300억원, 268억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5528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은 전일비 0.65포인트(-0.08%) 하락한 812.23으로 마쳤다. 이날 개인은 1531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44억원, 649억원 순매도했다.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0.9% 하락.
  4. [버핏리포트] SK텔레콤, "더 이상 악재는 없을것"...배당 유지가 관건 -NH NH투자증권이 18일 SK텔레콤(017670)에 대해 가입자 이탈은 마무리됐고 배당만 유지한다면 최악의 상황은 지나갈 것이라며,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6만5000원으로 '상향'했다. SK텔레콤의 전일종가는 5만6400원이다.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이버 침해사고 관련 이미지 실추와 73만명의 가입자 이탈이 있었지...
  5. [시황] 미국증시, 소비 훈풍과 기업들의 호실적 발표로 상승 마감 미국은 소비 훈풍과 기업들의 호실적 발표로 상승 마감했다. 6월 소매판매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가운데 주요 기업들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유럽은 강력한 기업실적과 미국과의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에 5일만에 반등했다. 주요 기업들의 어닝 서프라이즈와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을 높.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