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완성차 업체, 2분기 실적 「선방」...하반기 실적악화 우려 공존
  • 김승범 기자
  • 등록 2016-08-01 12:44:13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김승범 연구원]

국내 완성차 업체 2분기 판매 실적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 등 3개 기업이 있다. 26일 현대차를 시작으로 27일 기아차, 29일에는 쌍용차의 2분기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00502608_20160614_99_20160614202517

먼저 현대차는 26일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조7,61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기대치인 1조6,830억원을 약 4.6% 웃돈 것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조 6,767억원으로 8.13%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조 7,639억원으로 1.48%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긍정적인 수준』이라며 『개별 소비세 인하 효과에 내수 판매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이어 『대리점 판매 호조로 재고가 소진되고, 판매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이종통화 약세 부담도 소폭 줄어들면서 인도 등 해외 법인의 적자도 감소했을 것이란 판단이다. 고 연구원은 『러시아 루블화와 브라질 헤알화가 절상되면서 현지 생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고 설명했다.

107099_75663_2838

현대차의 자회사인 기아차는 올 2분기 현대차보다 우수한 정적을 거뒀다. 기아차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한 7,709억원으로 2013년 2분기(1조1,264억원)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작년 상반기 대비 20% 늘어나는 등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이는 전분기보다 21.6% 증가한 것으로 분기 영업이익이 7,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2014년 2분기(7,697억원) 이후 8분기 만이다. 영업이익률은 5.3%로 2014년 2분기(6.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분기 매출액은 14조4,500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6.1% 증가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K7 등의 신차 효과, RV 비중 확대 등으로 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기아차의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탠 건 고부가가치 차종인 RV 판매가 늘었기 때문이다. 기아차의 글로벌 상반기 판매량은 147만대로 2.3% 늘었다. 판매증가율보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더 높았다는 것은 대당 판매 단가가 높은 차를 많이 팔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아차의 RV 판매 비중은 상반기 기준 38.4%로 지난해보다 4.3% 늘었다.

두 회사 모두 경기 둔화에 따라 중국 등 신흥시장에서 차량 판매가 감소했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선진시장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며 이를 상쇄시켰다.현대차는 미국과 유럽 등 해외 공장 판매가 12.2% 증가하면서 글로벌 판매량은 전년비 4.3% 늘었다. 기아차의 상반기 지역별 매출 비중을 살펴보면 유럽은 22.3%로 3.5% 포인트 늘어났고, 러시아·브라질 등 시장 판매는 18.5%로 5.1%포인트 줄었다. 다만 중국 시장에서는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티볼리에어_(3)

쌍용차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9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9,640억원으로 15.3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80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이에 쌍용차는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27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541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등 2007년 이후 9년 만에 상반기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 들어 2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실적 개선은 올해 출시된 티볼리 에어 등 티볼리 브랜드 판매량이 늘어난 덕분이다. 쌍용차의 상반기 판매량은 내수 5만696대, 수출 2만3,881대(CKD 포함)를 포함한 7만4,577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6만9,800대)에 견줘 6.8% 늘어난 것으로 2003년 상반기(8만354대) 이후 13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티볼리 브랜드의 글로벌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50.9% 증가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193억원으로 집계돼 1분기 81억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흑자다.

 

한편 하반기 자동차 시장은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일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하반기 현대차는 파업, 기아차는 통상임금, 쌍용차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에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했다.

현대차는 19~22일과 27일 노조의 부분 파업으로 3,200억원 이상의 생산차질이 생긴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는 다음달 첫째주 여름휴가 이후 올해 임금협상 관련 재교섭을 할 예정이지만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2011년부터 5년 연속 파업이 발생하고 있는 현대차는 연평균 1조원가량의 손실을 보고 있다. 파업이 장기화되면 올해도 이와 비슷한 수준의 생산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의 경우 12월 29일 가까스로 연내 임금협상 타결에 성공한 바 있다.

기아차는 4분기 통상임금 1심 소송에 대한 판결이 나올 예정이다. 현대차와 달리 회사 측 패소 가능성이 높다는 게 관련 업계의 분석이다. 3년 소급분 8,200억원과 연간 임금상승분 2,730억원 등 약 1조1,000억원의 추가 부담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영국(6,000여대)을 포함해 유럽에 2만2,000여대를 수출한 쌍용차는 브렉시트 후폭풍을 경계하고 있다. 지난달 글로벌 론칭한 티볼리 에어의 판매량이 유럽 시장의 소비 심리 위축으로 악영향을 받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유지수 전 한국자동차산업학회 회장은 『하반기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자동차 경기 침체가 우려된다』며 『이럴 때일수록 국산 완성차 업체들이 「양적 성장」보다 고급차 판매량 증대 등 「질적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섬유,의류,신발,호화품주 저PER 1위... 1.4배 제이에스코퍼레이션(회장 홍재성. 194370)이 3월 섬유,의류,신발,호화품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이 3월 섬유,의류,신발,호화품주 PER 1.4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영원무역홀딩스(009970)(3.77), 한세예스24홀딩스(016450)(4.3), 신성통상(005390)(4.41)가 뒤를 이었다.제이에스코퍼레이션은 지난 4분기 매출...
  2. [버핏 리포트] 카카오, AI 관련 모멘텀 부재 한 번에 해결 목표주가↑-NH NH투자증권은 14일 카카오(035720)에 대해 Open AI와의 제휴를 통해 트래픽 증가 및 구독 모델 도입 가능성이 있고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5만3000원으로 상향했다. 카카오의 전일종가는 4만3150원이다.NH투자증권은 카카오의 4분기 매출액은 1조9570억원(+21.3% YoY), 영업손익...
  3. [버핏 리포트] 이마트, 봄이 오고 있다...영업이익 반등 '신호탄' – NH NH투자증권은 14일 이마트(139480)에 대해 장기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할인점 매출이 회복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는 11만원으로 상향했다. 이마트의 전일 종가는 8만3200원이다.주영훈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할인점 사업의 장기 매출 침체, 자회사들 손익 악화로 인한 연결 영업이...
  4. [버핏 리포트]셀트리온, 분기 지날수록 '매출총이익률' 개선 전망-한국투자 한국투자증권이 셀트리온(068270)에 대해 단기적으로 미국 정책 불확실성 속 미국에 의약품을 판매하는 기업에 투자 센티먼트가 약화됐지만 중장기적으로 의료비 지출 감소를 목표하는 미국 정부는 바이오시밀러 처방 확대 기조를 이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합병 기대 효과로 유럽 내 바이오시밀러 입찰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고 성과가 매.
  5. [버핏 리포트] 제일기획, 탄탄한 기초로 시장 상회하는 이익 개선 전망-삼성 삼성증권은 28일 제일기획(030000)에 대해 탄탄한 기초 체력을 기반으로 올해도 시장을 상회하는 이익 개선이 전망돼 올해 1분기에는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3500원을 유지했다. 제일기획의 전일종가는 1만7950원이다.강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제일기획의 1분기 매출액은 4157억원(YoY +6.4%), 영업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