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증권이 30일 현대백화점(069960)에 대해 하반기 백화점과 면세점 모두 실적 개선 흐름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9만8000원으로 상향했다. 현대백화점의 현재주가는 7만5400원이다.
현대백화점 주요품목 매출 비중. [자료= 현대백화점 사업보고서]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연초부터 유통 업종 주가는 12M FWD PER(앞을 12개월간 예상되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계산한 주가수익비율)이 8배까지 상승하였다"며 "이는 배당 및 자산가치에 대한 재평가, 주주환원 기대 확대,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 경기 방어적 성격의 업종에 대한 투자 선호 강화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승은 연구원은 현대백화점의 2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1조 1300억원(YoY +10%), 영업이익 829억원(YoY +94%)으로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838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녀는 백화점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성장했으나, 디큐브점 종류와 비효율 점포 조정, 프로모션 축소 등으로 마진 카테고리 기여도가 낮아져 수익성은 소폭하락한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비용 통제로 인해 이익 감소 폭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쳤다고 분석했다.
면세점 부문의 수익성은 환율 하락에 따른 대량 판매 축소와 동대문점 철수 관련 비용 발생으로 일시적으로 둔화된 것으로 예측했다. 현대백화점의 일평균 매출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지누스는 북미 매트리스 공급 확대와 반덤핑 관세 환입 효과(일시적으로 반덤핑 관세를 낸 후, 덤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관세를 돌려받는 것)로인해 1분기와 유사한 수익성을 유지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백화점 부문의 매출성장률과 수익성 모두 개선될 것을 기대했다. 상반기 부진했던 매출이 소비 심리 개선 흐름과 맞물려 나아질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이다. 신규 점포 커넥트 청주가 7월달부터 오픈하는 것도 수익성 향상의 이유라고 밝혔다. 그녀는 면세점 부문도 역시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환율 안정화에 따른 대량 판매 재개 가능성과 중국 노선 회복에 따른 유커(중국 본토에서 한국으로 오는 관광객) 수요 증가가 주요인이다.
그녀는 "상반기 일회성 비용 영향에서 벗어나며 4분기부터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실적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반기에는 공항 면세점 수익성 개선과 함께 구조적 손익 정상화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대백화점은 백화점과 면세점의 상품판매를 주력으로 하며 백화점 14개점, 아울렛 9개점, 면세점 3개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22년 현대백화점은 지누스 인수로 매트리스, 베개 및 가구 제조 사업을 추가하였다.
현대백화점 최근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이미지= 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