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백화점, 성장세 둔화...사업다각화로 돌파
  • 김승범 기자
  • 등록 2016-12-12 14:01:04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김승범 연구원]

ºÏÀûÀÌ´Â ¹éÈ­Á¡

국내 백화점 시장은 2010년 초반까지 고속 성장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최근 내수경기 부진과 소비 패턴이 온라인 시장으로 옮겨가면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게다가 김영란법으로 실적 둔화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주요 백화점 업체들은 이같은 실적 부진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사업다각화」를 시도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최근 현대백화점 그룹은 3,000억원 초반대의 SK네트웍스의 패션사업부문을 인수했다. 현대백화점 그룹에 따르면 패션 전문 계열사인 한섬을 통해 SK네트웍스 패션사업부문을 3,261억원에 인수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현대백화점은 SK네트웍스의 자체 브랜드와 해외 수입 브랜드를 포함, 총 12개 패션 브랜드를 넘겨 받는다. SK네트웍스는 자체 브랜드 오브제·오즈세컨·세컨플로어·루즈앤라운지와, 해외 브랜드 아메리칸이글·타미힐피거·DKNY·클럽모나코·캘빈클라인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인수는 2012년 한섬 인수를 성공적으로 이끈 정지선 현대백화점 그룹 회장이 이번 M&A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2007년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에 오른 뒤 패션 사업에 확장에 힘써왔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인수합병으로 현대백화점은 올해 약 1조3,500억원의 매출을 패션사업 부문에서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한섬은 7,500억원의 매출, SK네트웍스 패션부문의 매출은 약 6,000억원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백화점 그룹은 신세계인터내셔널과 FnC코오롱을 제치고 삼성물산 패션부문과 LF, 이랜드에 이은 굴지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04448_132606_214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은 화장품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화장품 편집숍 「시코르」를 선보이며 화장품 사업을 본격적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오는 15일 대구시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에 문을 여는 복합쇼핑공간인 대구점에 595㎡ 규모의 첫 화장품 편집숍 「시코르」를 개장한다고 밝혔다.

「시코르」는 기존 백화점의 럭셔리 뷰티 브랜드와 홈쇼핑·온라인의 인기 브랜드까지 180여 개의 뷰티 브랜드를 갖추며, 최신 트렌드의 남녀, 아이용 화장품과 미용 기기를 한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도록 기획했다.

신세계그룹은 앞서 신세계인터내셔널의 프리미엄 화장품 편집숍 「라페르바」, 이마트의 화장품 편집숍 「슈가컵」, 이마트 자체 화장품 브랜드 「센텐스」, 경기 오산의 화장품 제조공장 및 연구·개발(R&D)센터 착공 등을 통해 화장품 사업을 집중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01606091009_61140010687225_1

롯데백화점은 올 6월 자체 화장품 브랜드 「엘앤코스(el&cos)」를 론칭했고, 내년에는 단독매장을 오픈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백화점 측은 매년 성장하고 있는 화장품 시장 진출을 통해 자체브랜드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유통업계에서는 차별화된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자체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며 『화장품을 시작으로 자체브랜드 운영을 확대해 롯데백화점의 유통 노하우와 제조업체의 전문성이 집약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업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백화점의 성장세가 둔화됐지만, 주요 백화점들은 차별화 전략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면서 『화장품 브랜드 론칭과 패션 브랜드 인수 등으로 젊은 층을 유입하고 체험형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다시 고객을 끌어들인 다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SK스퀘어, 1Q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증가...주주환원 확대 기대–흥국 흥국증권이 19일 SK스퀘어(402340)에 대해 SK하이닉스의 꾸준한 실적이 예상과 자회사의 실적 호전 전망 및 주주환원 확대기조가 주목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2만원을 유지했다. SK스퀘어의 전일 종가는 10만2600원이다.흥국증권의 황성진 애널리스트는 “1분기 매출액은 4028억원(전년동기대비 -19.2%), 영업이익은 1조6523억...
  2. [버핏 리포트] 유진테크, 1Q 실적 기대치 하향...고객사 전환투자 속도조절에 눈높이↓ -한화 한화투자증권이 19일 유진테크(084370)에 대해 실적 추정치 햐향에 따른 실적 흐름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을 고려하면 단기간 내 주가 상승 동력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5만2000원으로 하향했다. 유진테크의 전일 종가는 3만3600원이다.유진테크의 올해 1분기 실적은 매출액 832억원(QoQ -27%), 영업이익 9...
  3. [버핏 리포트] 미래에셋증권, 실적 개선부터 평가이익 증가까지…목표주가↑-유안타 유안타증권은 19일 농심(006800)에 대해 실적 개선에 따라 ROE(자기자본이익률) 전망을 상향조정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만6000원으로 상향했다. 미래에셋증권의 전일종가는 1만3060원이다.미래에셋증권은 지난 1분기 지배주주순이익 순이익은 2587억원으로 컨센서스를 5.9% 상회했다고 공시했다.우도형 유안타증권 연구원...
  4. [주간뉴스클리핑] 산업(재계, 자동차∙항공, 통신∙ict) [재계]한진, 한진칼 지분 연쇄 매수하는 호반그룹에 반격 나선다금호석유화학, 기능성합성고무 공장 증설 마무리...4년 만 영업이익 반등 돌파구 모색K-배터리, 차입금 늘고 가동률은 '뚝'..."1분기가 저점"[자동차·항공]현대차, 美 공장 가동률 102%...관세 부과 전 생산 확대에어부산, 승무원 맞춤형 비행경향분석시스템 개발항공업..
  5. [이슈 체크] 정부, HUG에 5천억원대 유상증자로 보증여력 확대 삼성증권 이경자. 2025년 5월 19일.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주택사업금융보증, 임대보증, 하도급보증 등 다양한 공적보증으로 국내 주택시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적기금이다. 그러나 장기간 전세사기와 PF시장 경색으로 손실이 커지며 보증여력이 감소했습니다. 이에 국토부가 보유한 한국도로공사 주식 5천억원을 HUG에 현물출자함으로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