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밑줄긋기] 석유가 고갈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하다면? 『당신이 몰랐으면 하는 석유의 진실』
  • 이민주
  • 등록 2017-07-09 20:18:41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당신이 몰랐으면 하는 석유의 진실>. 레오나르도 마우게리 지음. 가람기획. 2010년 10월. 

6436571
-  1854년 아브라함 게스너라는 과학자는 미국 최초로 석유를 이용한 상품인 등유를 발명했다. 용도는 '빛을 발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 상품은 값싸고 안전했기 때문에 빠르게 대중화됐다. 당시 빛을 내는 연료로는 고래 기름이 사용됐다.  그런데 고래기름은 고래를 지나치게 남획한 탓에 부족했다.

- 드레이크는 실패의 삶을 살도록 예정된 인물처럼 보였다. 그는 많은 활동을 하고 영웅적인 업적을 꿈꾸었지만 모두 실패했고, 점원, 농장 노동자, 중기선 점원을 지냈다. 비셀과 그 동업자들은 드레이크에게 '대령'이란 칭호를 붙여주었다. 그가 늘 입고 다녔던 단 한벌의 제복인 철도 차장 복장을 감안해 런 칭호를 붙여주었다. 

- 석유가격(유가)의 급격한 오르 내림은 이 업계의 초기부터 보편적인 특징이었다. 예를 들어 유가는 1860년 배럴당 10센트로 떨어졌다가 이듬해인 1861년 10달러로 폭등했다. 1862년 한해동안에는 10센트에서 2.25달러까지 오르내렸고 평균 가격은 1.5달러였다.

- 드레이크는 이런 가격의 급등락을 견뎌낼 수 없었다. 그는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지급하는 연금으로 연명했다.

- 러시아는 미국에 이어 세계 두번째 석유 생산국이 됐다.

- 록펠러는 발전하는 미국 사회에서 커져가는 미디어의 역할을 과소평가했다.

- 1900년 석유는 단지 불을 밝히기 위한 연료가 아니었다. 적어도 200개 이상의 석유 부산물이 산업 기계용 윤활유, 의료, 촛불용 왁스부터 의약품, 솔벤트, 난로와 내부 연소 엔진용 연료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에 들어왔다.

- 1863년 디트로이트 인근 마을에서 태어난 포드는 기계 수리공으로 자동차 산업에 발을 디뎠고, 스스로 공부해 엔지니어가 됐다. 40세에 그는 현대 산업 조직과 생산 방법을 특징짓는 이론을 제시했다. "한대의 자동차를 다른 자동차와 똑같이 만들고, 핀 공장에서 생산하는 핀이 모두 동일한 것처럼 동일한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법'이 핵심이었다.

- 1908년 출시된 T모델은 위대한 산업적 성공이었다. 이 자동차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1914년 890달러에서 1924년에는 노동자 연간 급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290달러가 됐다. 1920년  포드자동차는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의 50%, 미국의 60%를 차지했다.

- 1927년 미국 인구 1,000명당 자동차 보유 대수는 200대였다.

- 지금 어느 누구도 땅속에 석유가 얼마나 묻혀 있는지 알지못한다. 땅속을 파고 들어가 접근할 방법, 또는 그 속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석유 자원이 얼마인지 측정할 방법이 없다.

- 석유 고갈을 걱정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 다시 말해 석유가 한정적임은 반박할 수 없는 사실이짐나 얼마나 한정적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석유 자원의 양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수수께끼 같은 놀이이다.

1. 석유에 관련된 데이터가 턱없이 불충분하다.

2. 투기 세력이 있다.

3. 새로운 석유 매장층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 석유 생산국은 석유 소비국이 자신들에게 의존하는 것보다 훨씬 더 그들(석유 소비국)에게 의존한다. 석유 생산국은 파이가 갈수록 작아지면서 대가족을 먹여 살리기에 급급하다.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알립니다] 더밸류뉴스와 함께 성장할 경력기자, 데스크 부장 모십니다 자본시장 전문 기자로 도약하고 싶은가요?'젋은 자본시장 미디어' 더밸류뉴스에서 그 기회를 만나보세요.더밸류뉴스가 창간 11주년을 맞아 제2도약을 선언하고 함께 성장할 능력있고 도전 정신을 가진 경력 기자와 데스크 부장을 모십니다.◇독보적 리그테이블 생산하며 자본시장 미디어 '빅3' 점프더밸류뉴스는 자칫 난해하...
  2. [버핏 리포트]SK하이닉스, 2Q 영업익 9조 돌파...AI 파도 타고 질주 vs 단기 노이즈-한화투자 한화투자증권이 25일 SK하이닉스(000660)에 대해, AI 업사이클 중심에서 차세대 메모리 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HBM 가격 협상 지연과 경쟁 심화 가능성이 주가 변동성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6만원으로 상향했다. SK하이닉스의 전일 종가는 26만9500원이다.한...
  3. [버핏 리포트]현대차, 글로벌 도매판매↑ 관세와 인센티브↓ – NH NH투자증권은 25일 현대차(005380)에 대해 글로벌 도매판매 증가로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으나 관세 영향과 미국·유럽 인센티브 증가로 눈높이 하향 조정이 필요하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6만원을 유지했다. 현대차의 전일 종가는 21만7500원이다.하늘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현재 주가 상승을 억제하는 요소는 ...
  4. 흥국화재, 손해보험주 저PBR 1위... 0.35배 흥국화재(대표이사 송윤상. 000540)가 7월 손해보험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흥국화재가 7월 손해보험주 PER 0.35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한화손해보험(000370)(0.35), 현대해상(001450)(0.52), 코리안리(003690)(0.57)가 뒤를 이었다.흥국화재는 지난 1분기 매출액 8986억원, 영업이익 144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매출액은 7.09%...
  5. [버핏 리포트]SNT모티브, 뛰어난 밸류업과 낮은 관세 노출...업종 내 매력도↑ -대신 대신증권이 25일 SNT모티브(064960)에 대해 밸류업 모멘텀과 낮은 관세 노출, 높은 현금여력으로 업종 내 매력도가 높다며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4만1000원으로 '상향'했다. SNT모티브의 전일종가는 3만4300원이다.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SNT모티브의 주가가 올해 시작일부터 현재까지 55% 상승 했다며, 코스피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