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밑줄긋기] 기업은 언제, 어떻게 탄생했는가? 『기업의 역사』
  • 이민주
  • 등록 2017-07-23 23:17:16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기업의 역사. 존 미클스웨이트, 에이드리언 올드리지 지음. 을유문화사. KRONOS SERIES 크로노스 총서-07. 2004년 4월

4097784

- 기업은 영속적 존재이다. 스스로를 변혁하는 조직이 기업이기 때문이다. 개인도 스스로를 변혁해가한 지속적으로 살아 남을 수 있다.
미국이나 영국의 주식회사(기업)는 주주들이 돈을 벌기위해 만들어낸 조직이다. 그래서 '주주 자본주의'라고 불린다. 그런데 독일이나 일본은 이익금을 사회에 환원하는 사회주의 냄새가 배어있다. 주주에 대한 배려보다는 기업의 사회에 대한 책임을 우선시한다.

- 한국은 초기에 일본식 기업 제도를 받아들였다. 중도에 미국의 기업 이념이 들어왔다. 이게 혼재돼 있다.

- 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간의 의식주와 활동 공간을 풍요롭게 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 1862년 영국에서 회사법(Companies Act)이 제정되면서 현대적 의미의 기업이 등장했다. 기업의 탄생으로 수백만명이 고향을 등지게 됐고, 사람들이 먹고, 일하고, 노는 방식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무엇보다도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 앞서 12세기 이탈리아 피렌체에는 콤파니아(Compagnia)라는 가족 회사가 생겨났다. 가족들이 공동으로 출자하고 무한책임을 지고 운영하던 회사였다. 투자자 전원은 글자 그대로 무한책임을 져야했다. 부도가 나면 출자자 모두가 엄한 벌은 물론 노예로 전락하기도 했다. 그래서 회사 구성원간의 신뢰는 절대적이었다. 이들이 외부 자금 유치에 필요한 구조변화를 모색해갔다. 1340년에 이르러 기업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복식부기를 도입하기도 했다. 

- 기업은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하는 수단이다. 기업은 인간의 불멸의 욕구에 대한 해법이다. 그래서 법인(法人)이다.

- 주식회사(기업)야말로 근대사에 있어서 가장 뛰어난 걸작품이다. 증기기관이나 전기마저도 주식회사의 지원이 없었다면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 기업의 최대 특징은 스스로 진화해간다는 것이다. 이점에서 기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힘을 확장시킬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미래의 기업은 어떤 모습일까?

1. 소수의 초거대기업이 세계 전체를 조용히 인수하고 지배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 주장이 현실 비즈니스 세계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2. 정반대로 기업의 실체가 점차 희미해질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Monorail corporation 이 그런 사례다.

3. 신중하고 튼튼한 사업 기반을 가진 거대 기업일지라도 현대 사회에서는 더이상 설 자리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두산퓨얼셀, 미국향 연료전지 판매 확대 예상 – NH NH투자증권이 20일 두산퓨얼셀(336260)에 대해 연료전지의 국내 시장 규모는 동일하나 미국발 수주 증가로 외형이 증가하고 수익성이 회복될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2만3000원으로 상향했다. 두산퓨얼셀의 전일 종가는 1만9400원이다.NH투자증권의 정연승 애널리스트는 “국내 수소 정책은 일반 수소 입찰 .
  2. [버핏리포트] 동방메디컬, 중국·브라질 해외 매출 확대 전망…"동방에서 서방까지 섭렵" - NH NH투자증권이 20일 동방메디컬(240550)에 대해 국내 1위 한방의료기기 업체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보유하고 있고 하반기부터 글로벌 미용·성형 의료기기 수출이 본격화되며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는 ‘미제시’했다. 동방메디컬의 전일 종가는 1만3700원이다.강경근 NH투자증권 연..
  3. [버핏 리포트] 파트론, 더딘 업황 개선...2Q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KB
  4. [버핏 리포트] 아모레퍼시픽, 대중국 실적 회복과 뷰티 영역 확장…목표주가↑-NH NH투자증권은 20일 아모레퍼시픽(090430)에 대해 중국 실적 회복과 뷰티 영역 확장 고려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7만5000원으로 상향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전일종가는 13만3300원이다.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2분기 매출액은 1조160억원(YoY +12%), 영업이익은 758억원(YoY +1724%)으로 기존 당사 추정치 및 컨..
  5. [이슈 체크] 증권, 증시 부양 기대감이 쏘아 올린 공 현대차증권 장영임. 2025년 6월 20일.KRX 증권 지수는 5월 MoM +23.0% 상승한 데 이어, 6월 현재 MoM +18.9% 상승하며 KOSPI 대비 8.5%p 아웃퍼폼했다. 증권업 주가 상승의 배경은 이재명 대통령의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주요했다. KOSPI 5000pt를 공약으로 제시했던 만큼 당선 이후 상법 개정안을 재발의했으며, 배당 촉진을 위한 세제 및 제도를 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