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숫자로 본 독점규제의 딜레마(윤진기 교수의 경제와 숫자 이야기)
  • 윤진기 교수
  • 등록 2018-06-11 15:21:50
  • 수정 2024-02-13 08:59:14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숫자로 본 독점규제의 딜레마

 

현재 경제 분야에서 이름깨나 있다는 나라치고 독점을 규제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 오늘날 독점을 규제하는 이유는 독점이 시장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시장경제 체제에서는 경제주체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되 공정하게 경쟁하면 경제가 성장하고 기업이 발전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사진 = 픽사베이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하여 국민경제를 발전시킨다”

 

이것이 독점규제의 이상이다. 우리나라도 이 이상을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규정해두고 있다. 그런데 이 독점에 대한 기준은 국내시장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글로벌 시장을 전제로 하면 도대체 독점이란 좀처럼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독점규제의 이상은 화려하지만, 실제 이 화려한 이상을 모든 나라에 동일하게 적용시키면 당장 모순이 발생한다. 모순을 더 명확히 드러내기 위하여 경제규모 차이가 큰 미국과 스위스를 대상으로 2016년 기준으로 살펴보자. 아래 인구 및 국내총생산 자료는 비교자료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17년 9월 28에 갱신된 KOSIS 국가통계포털이 제공하는 OECD 국가의 주요지표를 토대로 하였다.

 

면적 : 미국 9,629,091 km2(유엔통계국기준), 스위스 41,285km²

인구 : 미국 322,180,000명, 스위스 8,402,000명

국내총생산(GDP) : 미국 18,569.1(10억불), 스위스 659.8(10억불)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국가의 한 거래분야에서 시장이 국가 전체 경제규모의 10% 정도를 차지할 수 있다 가정하고, 독점의 기준을 시장점유율 50%로 잡는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양국의 기업이 독점에 해당하게 되는 기업의 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미국기업 시장규모 = 18,569.1(10억불) × 0.1 × 0.5 = 928.455(10억불)

스위스기업 시장규모 = 659.8(10억불) × 0.1 × 0.5 = 32.99(10억불)

 

그러면 미국의 정책당국은 미국기업이 미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50%인 매출액 928.455(10억불)에 이르도록 독점을 문제 삼지 않는다. 그러나 스위스 정책당국은 시장점유율이 50%인 매출액 32.99(10억불)만 되어도 그 기업의 독점성을 문제 삼아 규제에 들어가야 한다. 스위스에서 우리와 같이 경제력집중을 억제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면 한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50%이상이 되는 기업은 대체로 경제력이 소수에 집중되어 있을 것이므로 이를 규제하여 더 커지지 못하게 막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스위스에서는 미국 기업과 비교하면 구멍가게 정도의 기업만 있게 될 것이다.

 

스위스에서 미국 기업규모의 3.55%(=32.99/928.455)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우글거리는 것이 과연 스위스 경제에 도움이 될까. 당연히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시장이 국내에만 한정되는 폐쇄경제에서는 그렇게 하여 국내시장의 경쟁질서를 확보하는 것이 공정한 것이지만, 개방경제 체제하에서 스위스 당국이 그런 정책을 펴는 것은 심히 어리석은 것이다.

 

“국내 시장을 전제로 하는 독점의 기준을 가지고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해야 하는 자국 기업의 규모를 규제해야 한다.”

 

이것이 국내시장 점유율을 전제로 하는 독점규제가 가지는 딜레마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GDP는 2016년 기준으로 미국의 7.59%(=1,411.0/18,569.1)에 불과하다. 과연 미국과 동일한 시각에서 국내 기업의 덩치가 커지는 것을 막는 정책을 펴나가는 것이 잘 하는 것일까?

 

ⓒ저작권은 저자에게 있습니다.

sunhwa771@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버핏 리포트] TCC스틸, 1Q 업황 부진 2026년부터 본격 성장...긴 호흡 투자하라-DB DB증권이 TCC스틸(002710)에 대해 과거 멀티플이 지나치게 높았기에 2026년 실적 추정치 하향은 정상적인 조정이며, 이에 실적 턴어라운드 시기가 멀었다는 점을 고려해 긴 호흡으로 접근을 추천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만9000원으로 하향했다. TCC스틸의 전일 종가는 2만600원이다.안회수 DB증권 연구원은 TCC스틸의 올해 1.
  2. [버핏 리포트] 대한전선, 고부가 수주 확대...초고압·해저 케이블 중심 '구조 전환' – 유안타 유안타증권은 18일 대한전선(001440)에 대해 초고압·해저 케이블 중심 구조로 전환하고 있고 사상 최대 수주잔고를 기록하며 외형 성장이 가시화됐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4000원을 개시했다. 대한전선의 전일 종가는 1만1470원이다.손현정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는 “대한전선은 초고압 및 해저 케이블 중심 구조.
  3. [버핏 리포트] 카카오페이, 준수한 실적 기록…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의 핵심은 증권-신한 신한투자증권은 18일 카카오페이(377300)에 대해 양호한 분기 실적은 예상되지만 단기 주가 상승 여력은 크지 않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4000원을 유지했다. 카카오페이의 전일종가는 2만9750원이다.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페이의 1분기 매출액은 2031억원(YoY +15.2%), 영업손익은 12억원(적자 지속)으로 추정했다.임희연 연.
  4. 현대지에프홀딩스, 복합기업주 저PER 1위... 1.16배 현대지에프홀딩스(대표이사 정지선. 005440)가 4월 복합기업주 저PER 1위를 기록했다.버핏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대지에프홀딩스가 4월 복합기업주 PER 1.16배로 가장 낮았다. 이어 코오롱(002020)(1.86), 효성(004800)(2.07), KX(122450)(2.15)가 뒤를 이었다.현대지에프홀딩스는 지난 1분기 매출액 2조2036억원, 영업이익 100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
  5. [이슈 체크] 2025년 3월 글로벌 타이어 판매 동향 하나증권 송선재. 2025년 4월 18일.타이어 전체 판매의 20%/80% 비중인 OE/RE 판매가 3월 누적 기준 각각 YoY -1%/+4%를 기록하며 전체 YoY 2% 수준의 성장을 기록했다. OE 판매는 경제적/지정학적 이슈가 큰 유럽/북중미의 부진이 지속되는 반면, 정부 지원책 영향을 받는 중국에서의 증가가 이를 상쇄시켰다. RE 판매는 중국을 제외한 시장 전반에서 양호...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