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은 15일 카카오(035720)에 대해 수익성이 연중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고 연중 공개되는 다양한 B2C AI 서비스가 기대감을 실어줄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3000원을 유지했다. 카카오의 전일 종가는 3만9000원이다.
남효지 SK증권 애널리스트는 “매출액 1조8900억원(전년동기 -2.1%), 영업이익 1092억원(전년동기 -9.2%), 당기순이익 835억원(전년동기 +23.3%)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며 “톡비즈 광고형 매출은 메시지 광고 호조 지속으로 6.7%, 톡비즈 거래형 매출은 선물하기 직매입 비중 상승으로 +7.5% 성장이 예상되지만,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콘텐츠 부문 부진(-16.4%)으로 부진한 실적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카카오 매출액 비중. [자료=버핏연구소]
남 연구원은 “카카오는 지난해부터 핵심사업 중심으로 사업 역량을 재정비하고 있다”며 최근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넥스트레벨스튜디오, IST엔터테인먼트, 쓰리코프레이션 지분을 매각하며 추가적인 적자 자회사 정리를 예고했다.
또 “엔터/미디어 사업의 리소스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웹툰의 로컬 IP 강화, 게임즈의 대작 출시로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라며 “카카오톡은 3분기 초 숏폼 위주로 전개하는 피드형 지면을 추가할 예정이고 이는 현재 DAU(1일 활성 이용자 수) 대비 낮은 앱 체류시간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트래픽 및 체류시간 증가는 광고 수익 증가로 이어질 것”이지만 “최근 카카오톡에서 선보인 다양한 시도의 성공 사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서비스가 구체화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부터 OpenAI와 모델 및 서비스단의 협업이 진행된다”며 “이를 통해 저비용 고효율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고 연중 다양한 B2C AI 서비스들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AI 메이트 쇼핑은 선물하기 탐색 시간 단축과 선물 추천을 통해 구매전환율을 높이고 2분기 출시 예정인 AI 메이트 로컬은 맵에 적용돼 서비스 안착 시 플레이스 광고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카나나는 상반기 일반인 대상 CBT(비공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생성형 AI #(샵)검색은 하반기 출시 예정”이라고 추정했다.
끝으로 “OpenAI x 카카오의 AI agent는 연말 공개를 앞두고 연중 관련 정보가 공개되며 기대감이 형성될 것”이라며 “올해 공개될 다양한 AI 서비스들과 하반기 실적 개선을 감안하면 현 주가에서 하방보다 상승 잠재력을 고려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를 제공한다.
카카오.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자료=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