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이 7일 현대모비스(012330)에 대해 관세 비용 전가와 AMPC(미국 내 첨단 제조 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제도) 수익 반영이 확대되어 높은 실적 추정치가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40만원으로 상향했다. 현대모비스의 전일종가는 29만5000원이다.
현대모비스 국내외 주요품목 매출 비중. [자료= 현대모비스 사업보고서]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자동차 업종의 투자포인트는 관세를 유심히 지켜봐야한다고 말한다. 관세 부과에 따른 판매 및 영업 실적 전망치 변동 폭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그는 "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가 통과되고 AMPC 세액공제가 2032년까지 유지되는 상황이다"며 "모비스는 현대차 현대차 HMMA • HMGMA 및 기아 KMMG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배터리팩을 납품하며 kWh당 10달러(약 1만3665원)의 영업수익이 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현대차 및 기아는 미국에서 6191대의 전기차를 만들었다. 그리고 현대모비스는 여기서 78억원의 수익을 얻었다. 김준성 연구원은 올해, 내년, 내후년의 전기차 생산량을 각각 15만, 24만, 34만대로 전망한다. 그리고 모비스는 각각 1846억원, 2872억원, 4050억원의 AMPC 수익을 누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 연구원은 관세의 영향도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재고차이로 부품은 올해 3분기, AS는 4분기부터 비용이 반영된다"며 "부품은 2026년부터 시점 별 즉시 보전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AS에 대해서는 딜러와의 공급가격 인상 협상으로 영향이 축소되었다며, 연간 비용 3000억원 중 절반 수준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복잡한 정치 환경 속 모비스는 잃는 것보다 얻는 것이 더 크다"며 "현대차와 기아는 내년 각각 6조2600억원과 4조1800억원의 관세 비용 발생이 가능하지만, 모비스 실적 추정치는 관세 비용 전가와 AMPC 수익 반영 확대로 더 높은 자리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모비스의 올해 2분기 실적으로 매출 15조2000억원(YoY +4%), 영업이익 8464억원(YoY +33%)를 전망한다. 주된 이유로는 안정적 외형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AS 사업을 꼽았다. AS사업은 25.5%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그는 부품 사업의 영업이익률 0.3%로 흑자전환을 예상했다. 흑자전환의 이유로는 전년동기 발생했던 400억원의 품질비용 충당금 기저효과와 AMPC 세액공제를 통한 기타 영업수익 485억원을 꼽았다. AMPC 영업수익은 현대차 Ramp-up 진행과 기아 조지아 공장의 EV6 및 EV9 양산 정상화와 동행하여 올해 3분기 525억원, 4분기 596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그는 부품업의 연간 영업수익을 1846억원(YoY +2277%)으로 예상하며, 부품 사업의 손익 정상화가 이뤄질 것으로 판단했다.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모듈 및 부품제조 사업과 AS 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자동차 3대 핵심 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FEM을 생산해 현대차와 기아에 직서열 공급하고 있다. 현재는 핵심경쟁력 강화와 신사업 기회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 전동화 등 미래기술 분야 특허를 조기발굴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최근 분기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추이. [이미지= 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