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투자증권은 19일 세아제강(306200)에 대해 3분기 실적이 관세 영향 본격화와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어닝 쇼크를 시현했다고 분석했다.
4분기 실적 반등은 유효하나 향후 미국 관세 영향으로 기존의 이익 수준 회복은 불투명해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 목표주가를 14만6000원으로 하향했다. 세아제강의 전일 종가는 12만1300원이다.
권지우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한 가운데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며 3분기 별도 매출액 3018억원(전년동기대비 -17.9%), 영업손실 5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세아제강 매출액 비중. [자료=버핏연구소]
그는 “수출 부문은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미국 50% 관세 부담이 본격화되며 수익성이 하락됐으며 내수 부문은 건설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4분기에는 일회성 비용이 제거되며 해상풍력(OF) 및 액화천연가스(LNG)향 신규 프로젝트 매출이 발생해 영업이익에 기여할 전망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사업의 부진을 일부 상쇄할 것으로 기대되며 내수 부문 역시 계절적 비수기 탈출에 따른 판매량 증가와 판가 인상 시도로 매출 및 수익성이 모두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내년 내수 부문의 경우 건설 경기가 바닥을 찍고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완만한 개선이 예상되지만, 미국향 수출은 고유가 및 관세에 따른 부담이 지속되므로 해상풍력·액화천연가스 부문의 성장이 이를 일부 상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끝으로 “세아제강은 해상풍력 핀파일·자켓 일관 생산 체계와 24인치 스테인리스(STS) 조관라인 등 중장기 성장 기반 설비 투자가 기반을 마련했다”며 “단기적으로 미국향 유정용 강관(OCTG) 부문의 변동성이 크더라도 순천공장의 라인을 축으로 한 중장기 실적 회복과 밸류에이션 하방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세아제강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자료=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