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엔지켐생명과학,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성과 발표한다...미 RRS총회 참가
  • 홍순화
  • 등록 2022-10-14 16:09:57
  • 목록 바로가기목록으로
  • 링크복사
  • 댓글
  • 인쇄
  • 폰트 키우기 폰트 줄이기

기사수정

[버핏연구소=홍순화 기자] 엔지켐생명과학(183490)이 16일 미국 하와이에서 3박4일 일정으로 개막하는 '2022 방사선연구협회'(RRS 2022 : Radiation Research Society Annual Meeting 2022)에서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제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이번 학회에서 'Radioprotection·Biodosimetry' 세션에 참가해 '조직괴사억제를 통한 PLAG의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 증상 완화 효과(Mitigation of gastrointestinal acute radiation syndrome by 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via inhibition of necroptosis in mice)'를 발표한다.

충북 제천 엔지켐생명과학 공장. [사진=엔지켐생명과학]

이재삼 엔지켐생명과학 생명과학연구소 박사는 "이번에 발표하는 전신피폭으로 유도한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 마우스 모델 연구에서 PLAG가 △방사선 전신피폭된 마우스의 생존률 향상, △혈액세포 수의 증가(백혈구, 호중구, 혈소판, 적혈구), △방사선에 의해 파괴된 골수 조혈모세포의 증가 및 복원 작용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엔지켐생명과학은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에서 PLAG의 작용기전으로 세포사멸 경로 중 하나인 Necroptosis(괴사) 발생 완화에 대한 연구결과도 발표할 예정이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FDA Animal rule에 따라 임상 2상을 진행하여 약 1억 달러에서 2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FDA 신속심사바우처(PRV)를 신청할 계획이다.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ARS)은 고농도 방사선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예후가 매우 나쁜 편이며, 위장관은 방사선에 매우 민감한 장기이기 때문에 방사선 노출시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급속히 사멸한다. 그 결과 영양분 흡수 불량, 위장점막 파괴로 인한 장출혈, 장내 세균 및 감염원 체내 노출, 과도한 염증반응 등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현재까지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에 대한 승인된 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 등으로 국제적 핵위기 상황에 대한 우려와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 10월 초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핵 비상상황을 대비하여 미 제약사 암젠(Amgen)의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 엔플레이트를 2억 9,000만 달러에 구매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국가재난을 대비하기 위해 전략물자 및 치료제를 비축해 왔으며,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도 이에 해당한다.

엔지켐생명과학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신약후보물질 EC-18(PLAG)은 조직의 손상과 염증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고, 이미 2021년 9월 중증 구강점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미국 FDA 임상 2상시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한 바 있다.

엔지켐생명과학의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 EC-18 (PLAG)은 현재까지 유일한 경구용 위장관계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 후보로, 개발 가능성을 인정받아 2017년 12월 미국 FDA에서 희귀질환치료제로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받았다. 이 경우 치료제 품목허가를 획득하면 7년간 독점 라이선스를 부여받고 R&D 자금 및 세금 인센티브를 지원 받는다.

엔지켐생명과학의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는 2019년 5월 13일 미국 FDA로부터 'ARS Phase 2 Multi-Animal Studies'로 임상 2상 IND 승인을 받은 상태로, 'FDA Animal Rule'에 따라 임상 2상이 완료되면 임상 3상을 거치지 않고도 품목허가가 가능하므로 치료제를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이미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EC-18을 이용한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제의 특허 등록을 허여받아 미국 시장에서의 지적재산권도 확보하였다.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가 품목허가를 획득하게 된다면 미국 국방부(DoD)의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로 지정받는 것도 기대된다.


[관심종목]
183490: 엔지켐생명과학

ihs_buffett@naver.com

'버핏연구소'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환율] 엔-달러 152.5000엔 … 0.89%↑ [버핏연구소] 0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엔/달러 환율은 152.5000엔(으)로, 전일비 0.89% 상승세를 보였다.[출...
  2. [환율] 위안-달러 7.1227위안 … 0.02%↑ [버핏연구소] 09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위안/달러 환율은 7.1227위안(으)로, 전일비 0.02% 상승세를 보였다.[...
  3. [버핏 리포트] HD현대일렉트릭, 북미·유럽 수주 급증으로 사상 최대 실적 갱신 – LS LS증권은 24일 HD현대일렉트릭(267260)에 대해 북미시장의 대호조와 유럽시장의 대약진으로 3분기 실적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80만원에서 97만원으로 21% 상향했다. HD현대일렉트릭의 전일 종가는 74만6000원이다.성종화 LS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954억원으로 전...
  4. [버핏 리포트] 삼성전자, D램 가격 상승 최대 수혜 ...파운드리도 긍정적 전망 – KB KB증권은 24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컨벤셔널 D램(동적 랜덤 접근 메모리) 수요 급증에 따른 가격 상승 장기화의 최대 수혜가 예상되며, 테슬라 등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도 중장기 턴어라운드 계기를 마련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3만원을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전일 종가는 9만6500원이다.김동원 K...
  5. [환율] 엔-달러 147.3200엔 … 0.32%↑ [버핏연구소] 03일 현재 서울외환시장에서 거래되는 엔/달러 환율은 147.3200엔(으)로, 전일비 0.32% 상승세를 보였다.[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