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은 29일 해성디에스(195870)에 대해 DDR5 매출 반등과 함께 내년에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고 밸류에이션 리레이팅도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변경하고 적정주가를 3만3000원으로 상향했다. 해성디에스의 전일 종가는 2만8300원이다.
양승수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3분기 연결 매출액 1730억원(전년동기대비 +15.8%), 영업이익 142억원(전년동기대비 +21%)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각각 2.1%, 11.3% 상회할 것”이라며 “2분기 국내 고객사향 납품 재개로 회복세를 기록했던 DDR5 매출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성디에스 매출액 비중. [자료=버핏연구소]
그는 “국내 고객사의 중국 공장 및 주요 OSAT(외주 반도체 생산) 업체향 공급 물량이 증가했다”며 “리드 프레임은 유럽 전기차 및 신규 고객사향 물량 증가로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3분기를 기점으로 DDR5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해성디에스의 릴투릴 생산 방식은 경쟁사들의 시트 생산 방식 대비 대량 생산에서 장점이 있으나 고층 기판 생산 과정에서 초기 수율 확보가 어렵기에 해성디에스는 다른 기판 업체 들과 달리 DDR4 → DDR5 전환 지연으로 실적 부진이 장기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안정적으로 진입에 성공하면 압도적인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할 것”이라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해성디에스의 DDR5 매출이 2개 분기 연속 회복세를 기록한 점은 의미 있는 변화”라고 판단했다.
이어 “해성디에스의 안정적인 DDR5 생산·공급 능력이 확인된 만큼 향후 분기별 물량 증가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해성디에스의 원가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가파른 침투 확대를 전제로 내년 DDR5 매출액은 1143억원(전년동기대비 +107.8%)일 것”으로 추정했다.
끝으로 “안정적인 리드프레임 매출에 더해지는 DDR5 성장으로 본격적인 실적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며 “올해 해성디에스 주가가 래거시 중심 포트폴리오 영향으로 경쟁사 대비 부진했기 때문에 DDR5 매출 확대를 기반으로 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해성디에스는 반도체 패키징 공정 구조재료인 반도체 기판을 제조한다. Infineon, ST Micro 등 반도체업체와 ASE, Amkor 등 조립업체에 리드프레임을,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Package Substrate를 공급한다.
해성디에스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 [자료=버핏연구소]
<저작권자 ©I.H.S 버핏연구소(buffettla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